- 김영록의 테크인사이트
- Posts
- #246 변화하는 펀드 오브 펀즈의 역할
#246 변화하는 펀드 오브 펀즈의 역할
지금은 FoFs가 새로운 모델을 구축해야 할 변곡점
지난 주말, 제가 살고 있는 샌프란시스코 미션 지역에서 “로우라이더 퍼레이드(Lowrider Parade)” 가 열렸습니다. 로우라이더란 밑의 사진처럼 차체를 아주 낮게 튜닝한 자동차를 말합니다. 저도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는데, 이 로우라이더 문화는 멕시코계 미국인(치카노) 사회에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.
참고로 미션 지역은 흔히 “멕시코인의 동네”라고도 불리는 곳이라, 왜 이 동네에서 이러한 이벤트가 열렸는지 납득이 되었습니다. 실제로 보니 정말 멋있었고, 솔직히 저도 타보고 싶다 생각까지 들었습니다. 아마 미션에 너무 오래 살았나 봅니다ㅎㅎ
이달 초에 게재한 “#243 VC의 ‘귀족 게임’은 막을 내리고 있다”라는 글에서 저는 VC가 더 이상 '액세스 게임’이 아니라고 말씀드렸습니다. 탑 티어 펀드에 대한 접근성이 예전보다 훨씬 열렸고, Allocate와 같은 테크 플랫폼은 과거에는 전혀 기회가 없었던 투자자들에게도 탑 티어 펀드에 투자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주고 있습니다.
이는 곧 제가 운영하는 펀드 오브 펀즈(FoFs)의 역할 또한 재편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합니다. 미국의 FoFs가 전통적으로 해왔던 일 중 하나는 바로 ‘액세스 제공’입니다. 접근하기 어려운 펀드들과 관계를 맺어둔 덕분에, 그렇지 못한 투자자들은 FoFs를 통해서만 해당 펀드에 노출될 수 있었습니다.
그러나 이제 상황은 달라지고 있습니다. 지난주 한 대형 기관투자자의 CIO와 대화했을 때, 그는 “대형 FoFs에 이미 투자하고 있지만, 이제는 많은 탑 티어 펀드들이 직접 만나러 온다”고 말했습니다. 다시 말해, FoFs를 거치지 않아도 직접 투자할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입니다. 과거에는 탑 티어 펀드에 대한 ‘액세스’가 FoFs에 투자하는 핵심 동기였다면, 이제 그 독점적 지위가 점차 희미해지고 있는 것입니다.
지난 10년간 VC의 형태는 크게 변했지만, FoFs가 그 변화에 충분히 적응했는지에 대해서는 질문이 필요합니다. 저희가 중점적으로 보고 있는 신흥 VC 혹은 마이크로 VC와, 세코이아·앤드리센 호로위츠 같은 대형 펀드 간에 일어나고 있는 양극화는 분명 시장의 중요한 변화입니다. 얼마 전 앤드리센 호로위츠 팟캐스트에서 벤 호로위츠도 “앤드리센 호로위츠와 같은 대형 펀드, 그리고 전문성을 갖춘 초기 단계 펀드는 앞으로 5~10년간 확실한 포지셔닝을 유지할 것”이라고 전망했습니다. 또한, 이도 아닌 펀드는 'Questionable', 의문의 여지가 있다라고까지 표현했습니다.
따라서 FoFs의 새로운 역할 중 하나는 대형 탑티어 펀드로의 단순한 엑세스가 아니라, 특정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초기 단계 펀드를 발굴하고 투자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. 그러나 이는 많은 변화 중 하나입니다. AI나 스테이블 코인과 같은 기술변화와 VC 시장의 많은 환경 변화를 고려할 때, 지금이야말로 FoFs가 새로운 모델을 구축해야 할 변곡점입니다. 그 변화를 선도하는 FoFs가 다음 사이클의 주역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
References:
n/a